728x90 분류 전체보기491 케이쉴드 주니어 6기 활동 후기 및 BoB와의 차이 안녕하세요. 벌써 3개월이 흘러서 케이쉴드 주니어를 수료하게 되었네요. 시간이 참 빨라요. 케이쉴드 주니어는 홈페이지에 나와 있듯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하는 K-Shield Jr. 교육은 향후 정보보호 분야 취업 시 현장실무를 즉각 수행할 수 있는 사이버 보안 전문 주니어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일단 저는 2021년 상반기, 보안사고분석대응으로 6기를 수료했습니다. [수업과 활동 설명] 말 그대로 보안 관련 대외활동인데 연구 중심의 BoB보다는 취업에 많이 치우쳐 있는 활동입니다. 그래서 취준생이거나 대학교 4학년이라는 지원조건이 붙어요. 또 7,8월 공통교육 및 트랙 교육으로 매일 같이 수업이 있는 BoB와는 다르게 케이쉴드 주니어는 주 2회 (오전 .. 2021. 6. 21. 2021학년도 4학년 1학기 종강! 드디어 4학년 1학기가 종강했네요. 4학년 2학기는 현장실습을 할 계획이니깐 (바뀔 수도 있음) 학교에서 치는 마지막 시험이라고 해야할까요? 마지막인데 마지막 시험에서 정수리에 망치로 맞아서 정신이 멍하긴 하지만 회복했습니다ㅋㅋ 씨플나오면 나오는 거 아니겠어요? 뭐가 크게 바뀌겠어.. 어차피 망한 학점 아니겠습니까.. 하하 대학교도 이제 마지막 학기밖에 남지 않았다는 게 기분이 묘해요. 함께 해온 동기들은 거의 다 휴학을 했고 아마 저도 BoB에 붙게 된다면 휴학을 하겠죠. 그럼 또 열심히 살아갈거에요. 기분이 정말 몽실몽실해요. 기쁜건지 아쉬운건지, 아직은 좀 아쉬운 거 같습니다. 저는 20일 1시 반 면접 때까지는 열심히 준비하다가 제게 있는 1주일 간의 휴식시간을 즐길 거에요. 다음주에는 중학교 담.. 2021. 6. 17. ICBM에 대해서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미래창조과학부에서 2014년 4월 사물인터넷 기본 계획을 발표하면서 ICBM 융합 서비스 발굴 및 선도, 시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ICBM이란 ICBM이란 기본적으로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Cloud)에 저장하고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술로 이를 분석해서, 적절한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 서비스(Mobile)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5G, 네트워크,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사물들로부터 데이터 수집 수집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분산 저장 분산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로 분석 분석된 결과는 모바일 사용자 기기에 의해서 소비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서비스 제공 사물인터넷(Internet of .. 2021. 6. 10. [컴퓨터비전 과제] 7.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이란? CNN은 이미지의 전체가 아닌 부분을 보는 것이 핵심 아이디어인데요. 이 부분에 해당하는 것을 filter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뉴럴네트워크에 Convolution과정을 하는 건데요. Convolution은 어떠한 filter를 통해서 하나의 새로 값을 얻어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사실 복잡하게 설명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간단하게 언급하겠습니다.) image 의 사이즈가 7x7 이고 filter가 3x3 이라고 가정을 했을 때 image의 부분마다 새로운 값을 뽑아내야합니다. filter의 size가 3x3 이니 9개의 parameter 가 있고 이 값이 가중치 W에 대해서 ReLu나 Sigmoid 같은 activation function을 거쳐서 새로운 값을 출력합니다. 이때.. 2021. 6. 10.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123 다음 728x90